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443)
atmega128 - 테스트 코드 UART로 시리얼 통신하여 데이터 확인하기 #7 atmega128에서 보내는데이터를 컴퓨터와 UART로 시리얼 통신을 해보자 UART는 병렬데이터를 직렬(시리얼)데이터로 변경하는 프로토콜이다. 순서1. UART 모드로 변경 (하드웨어 기기에 있음)2. 드라이버 설치(미설치시)3. COM 포트 몇번인지 확인4. 소스 입력5. 결과확인  CP2102 를 연결한 모습  위에서부터 순서는 다음과 같다.1. 3.3v 2. TX(transit)3. RX(receive)4. GND5. 5v TX와 RX는 양쪽 기기와암수와 같다. TX는 반대 기기의 RX에 연결(transit하니 receive에 받기)   atmega128과 CP2102연결한 모습 3.3v 컨버터칩이안 먹는건지 잘못 연결한건지 안되어서C타입 전원을 입력했다.    COM4에 연결... 첨에 COM5..
atmega128 - FND 1~5 나타내기 #5 내가 갖고 있는 FND는 조금 특이하다.COM 포트가 총 4개인데GND를 입력해야 LED가 출력된다. COM포트 별로 자리수를 표시하는데트랜지스터로 GND를 나눠서 출력해야된다. 지금 NPN 트랜지스터가 없어 자리수마다순서대로 숫자 나타내는 건 다음 포스팅에 올릴 예정 COM1 부터 COM4 까지모두 GND 입력하여1~5까지 나타냄.. 1e2d3dot4c5g6com1(일의자리)7b8com2(십의자리)9com3(백의자리)10f11a12com4(천의자리) 1을 나타내려면b,c에 vcc를 넣어야함bc는 각각 7과 4에 넣으면 된다.. COM 포트를 제외하고 PA포트를 0번부터 사용한다고 했을 때 b,c는 7과 4에 vcc 넣어야 하니PA3, PA5에 출력 신호를 준다. 0b00101000 이..
atmega128 - NPN 트랜지스터로 LED 스위치 제어 #6 메가폰 실습하다 남은 트랜지스터 5개가 있었는데 데이터시트를 보고 LED 스위치제어 실습을 만들어 보았다.  원래 데이터시트에 NPN인지 PNP인지 나오는데해당 트랜지스터는 안 나와서 확인하는데 꽤 걸렸다. NPN으로 추정된다.베이스에 양극넣으니 콜렉터로 양극이 잘 나왔다.    스위치로 베이스에 양전하를 컨트롤함
atmega128 - 브레드보드용 C타입 파워모듈 전압테스트 휴대폰 충전기로 아트메가 파워전압을 공급해주는 모듈과USB-mini c타입과 전압차이를 비교해보았다. 1. usb-mini c타입  2. 브레드보드용 C타입 파워모듈   3. 브레드보드용 C타입 파워모듈과 아트메가 연결    셋 모두 5볼트 대로 전압이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저항 계산법 LED를 예로 계산해보자 1. 9V 건전지2. LED(최대전류: 0.022A(22mA))  옴의 법칙으로 계산하면 된다.V = I * R 9v = 0.022A * R 저항이 409정도 나온다.  409 이상 저항 중450 크기 저항을 사용하면LED가 안 터지고 사용할 수 있다..
세화 멀티 아날로그 테스터기 사용법 DC 전류 확인시 노브를 10v로 설정하는 경우  0 2 4 6 8 10눈금으로 확인하면 된다.  50, 250 마찬가지로 설정하면 된다.   1.5V는 AA기준 건건지 남은량 확인하는데 사용한다.GOOD 쪽으로 침이 넘어가야 용량이 충분히 있다는 의미임. 0이 안맞을 경우아래 위치를 드라이버로 조정하면 됨
atmega128 - FND 확인 테스트 #4 4-digit 을 이용해숫자를 표현한다.   세그먼트는 a부터 g까지 표현한다. 12pin을 사용하는 FND는모델마다 자릿수 COM 포트가 다르다. 내가 갖고 있는 COM 포트 1번부터 4번까지 확인해봄 COM 포트에는 그라운드를 줘야함   COM1: 6COM2: 8COM3: 9COM4: 12 해당 핀에 그라운드를 준다. 핀의 숫자는 다음과 같다  알아낸 숫자와 A-G, dp 를 정리해봄 1E2D3DP4C5G7B8COM29COM310F11A12COM46 COM1  다음 포스팅엔숫자 4자리를 처리해보자..
kaliLinux - website 취약점 공격연습 (dirb 이용하여 숨겨진 보안파일 찾기) #8 dirb 이용하여하위 디렉토리 중 robots 파일이 있다.chrome이 서칭할 때 해당 파일을 참조한다.disallow를 통해 chrome이 서칭하지 않도록 설정한 파일들을 살펴보자 1. 하위 디렉토리 검색dirb http://도메인/디렉토리/    하위 파일 중robots.txt가 있다. 열어보자    Disallow된 파일 중passwords가 있다  열어보자..  하위디렉토리에계정들이 저장되어 있다. 또 다른 파일을 열어보자   디비 계정이 들어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