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8) 썸네일형 리스트형 Spring boot) debug만 안켜지는 이유 Window > show view > break points 브레이크 포인트 다 지우고 실행하면 후다닥 켜진다... Spring boot) keytool로 ssl 생성하여 ssl 적용하기 keytool이란? JDK에서 제공하는 tool이다. 기한을 정해놓고 공개키, 비밀키가 들어있는 인증서를 만들 수 있다. SSL 동작방식을 간단하게 설명해보면 1. 클라이언트가 sever에 요청 2. server가 갖고있는 인증서 정보를 제공(공개키, 비밀키) 3. 클라이언트는 인증서 정보를 갖고서 CA에서 복호화 가능한지 확인 -> CA가 복호화 할 수 없는데 인증서가 있다면, 신뢰할 수 없음으로 뜸 1. 터미널로 인증서 생성하기 (Mac) keytool -genkey -alias spring -storetype PKCS12 -keyalg RSA -keysize 2048 -keystore keystore.p12 -validity 4000 생성시에 정보들을 넣는데 마지막에 yes만 해주면 생성됨 계속 안.. Spring boot) vue + springboot 에서 router 사용하기 현재 개발은 vue 서버 + spring boot 서버 각각 켜서 작업하고 있다. router는 그냥 화면전환용 url이기 때문에 이벤트를 이용해 this.$router.push 형식으로 화면변환을 시키면 router가 작동은 한다. 문제는 새로고침 혹은 url을 직접 치고 들어갔을 때다. url은 서버에서 제일 먼저 받아서 처리한다. 해당 api url이 없는 경우 404를 뱉는다. 그래서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이 2가지가 있다. 1. ErrorController 2. WebMvcConfigurer 두 가지를 살펴보자 1. ErrorController spring에서 에러가 나면 /error라는 내장된 경로를 통해 404 페이지를 보여준다. 이것을 이용해서 api에 해당하는 url이 없으면 /error .. spring boot) vue + spring boot websocket 웹소켓 proxy error vue에서 프록시를 사용하고 있다. vue -> spring boot로 rest api로 구성되어 있는데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채팅구현을 위해 웹소켓 프로토콜을 이용해 서버에 요청을 해야한다. vue.config.js 파일을 다음과 같이 하였다 const { defineConfig } = require('@vue/cli-service') const 사설ip = '주소생략'; const 운영 = '주소생략'; const 개발 = 'localhost:8082'; const 프로토콜 = { API: 'http://', WS: 'ws://' } const access_point = 운영; module.exports = defineConfig({ transpileDependencies: true, lin.. SpringBoot) 이미지와 텍스트를 함께 보낼 때 하나의 formData에 텍스트와 이미지 파일을 함께 보내서 처리하고 싶었다. 그러려면 다음과 같이 처리하자 front에서 처리(vue.js) const formData = new FormData(); formData.append('file', this.$refs.fileUpload.files[0]); formData.append('param', JSON.stringify(회원가입파라미터)); @RequestParam은 multipart를 맡는다 @RequestPart는 JSON을 맡는다 중요한건 key값 설정 두개 이상 올 경우 구분하기 위해 key 매핑을 해줘야함 mybatis) attempted to return null 에러 분명 모든 게 이상이 없는데 자꾸 return null이라고 리턴타입 바꾸라고 한다. 나의 경우는 xml의 mybatis 태그를 update가 아닌 select로 해서 났던 오류.. SpringBoot JPA - h2 DB 접속하는 법(drop table if exists 테이블명 cascade) 8080으로 서버를 띄웠다고 가정 http://localhost:8080/h2-console 로그에 drop table if exists 테이블명 cascade 라고 떴다면 appication.properties 혹은 application.yml을 수정해야함 server: port: 8081 spring: jpa: show-sql: true properties: hibernate: format_sql: true defer-datasource-initialization: true ddl-auto: create datasource: url: jdbc:h2:mem:testdb h2: console: enabled: true 스프링 암호화 ShaPasswordEncoder를 상속하고 구현한 클래스와 인터페이스의 전체 모습입니다. 필요한 메소드 외에는 작성하지 않았습니다. ShaPasswordEncoder는 상위에 있는 클래스와 인터페이스의 메소드 모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옛날에는 최상위 인터페이스인 PasswordEncoder의 encodePassword메소드를 사용했지만 지금은 deprecated(없어짐) 상태입니다. 사용법을 먼저 코드로 알아본 뒤에 salt란 무엇인지, sha256이란 무엇인지에 대해서 공부하고 어떤 방식으로 내가 적은 PW가 바뀌는 지에 대해서 총 3가지를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코드를 확인하겠습니다. 코드는 niees님의 내용을 참고했습니다. https://niees.tistory.com/16 05. spring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