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406)
vscode - gradle 오류 (Spring Boot) 1. ./gradlew build 시 java 1.8 사용한다는 내용2. 서버를 켰을 때 gradle build 에러 현상3. gradle을 가져올 때 로컬 컴퓨터에 저장하는 위치  1. ./gradlew build 시 java 1.8 사용한다는 내용 ./gradlew -version 확인시 java 버전이 1.8인 경우에gradle.properties를 이용해 버전을 바꿔야한다. org.gradle.java.home=C:\\Program Files\\Java\\jdk-17 2. 서버를 켰을 때 gradle build 에러 현상 vscode에서 스프링부트 서버를 키려고 할 때gradle build 에러는 vscode 내에서 gradle를 사용할 때 자바 버전이 맞지 않았다.  settings에 가서Jav..
atmega128 - 터미널 테스트 출력 #9 이전에 CP2102 모듈로 연결해 UART0 PC와 시리얼 통신을 했다. 그런데 JMOD-128-1은기본 UART0가 내장되어 있어 별도 외부 모듈이 필요 없었던 것이다..  모드를 변경해 테스트 출력을 해보았다. 주의사항은모드를 바꾸고 USB를 다시 연결해야잘 인식된다. #define F_CPU 16000000UL // Define clock speed (16 MHz)#include #include #define NULL 0void init_uart0() { UCSR0B = 0x08; UCSR0C = 0x06; UBRR0H = 0; UBRR0L = 103;}void putchar0(char c) { while(!(UCSR0A & (1   이제 ESP8266 모듈을 가지고TCP 통신만 남았다...!
atmega128 - 입력에 따라 다르게 출력하기 #8 E 포트를 입력모드로 바꾸고 스위치를 누를 때 5V 전압을 주었을 때 A 포트 1번에 5v 출력하여 LED를 키는 간단한 테스트를 진행  #define F_CPU 16000000UL // Define clock speed (16 MHz)#include #include int main(void) { DDRA = 0xff; DDRE = 0x00; while(1) { if ((PINE & 0x01) == 0x00) { PORTA = 0x02; } else { PORTA = 0x00; } }}
macOs M2 개인서버 전환 - ssh 연결이 자꾸 closed 될 때 (#기타) "connection closed" 이 포스팅은아래 설정을 모두 끝냈으나admin 계정 외 아이디로 ssh 로그인시 " connection closed "가 뜨는 현상을 해결하는 과정이다. 나의 경우에는그룹이 추가되어 있지 않아서 생긴 문제였다. 1. 그룹 확인id 추가한아이디ex) id tomhoon com.apple.access_ssh 그룹이 없으면 계속 진행 있다면다른 해결방법 찾아야함.. 2. 그룹 추가해주기sudo dscl . -append /Groups/com.apple.access_ssh GroupMembership 계정아이디ex) sudo dscl . -append /Groups/com.apple.access_ssh GroupMembership tomhoon com.apple.access_ssh의GroupMembership ..
macOs M2 개인서버 전환 - 유저 생성 및 제거 (#4-2) 1. 유저 생성1-1. 유저 권한 부여2. 유저 생성 확인3. 유저 제거4. 유저 제거 확인 1. 유저생성sudo sysadminctl -addUser 로그인아이디 -fullName "터미널에나타날이름" -password "비밀번호"   아래 ssh 설정파일 가서'AllowUsers'를 추가해줘야함sudo vi /etc/ssh/sshd_config   공백을 구분자로 해서id1, id2개가 등록됨  그 후데몬서비스(서버) 껐다 키기  sudo launchctl stop com.openssh.sshd && sudo launchctl start com.openssh.sshd com.openssh.sshd는 맥의 ssh 데몬서버다.서버를 껐다 켜서 config 파일을 적용시킨다.1-1. 유저 ssh 권한 부여..
macOs M2 개인서버 전환 - 어느 유저가 로그인 했는지 로그 확인 (#4-1) sudo tail -f /var/log/system.log | grep sshd USER_PROCESS는 로그인 한 내용DEAT_PROCESS는 로그아웃
macOs M2 개인서버 전환 - ssh 터널링 테스트 (#4) ssh 터널링을 셋팅하고 테스트해보자 1. ssh 터널링 설정 ON 확인2. 터미널 파일디스크 접근허용3. ssh 터널링 설정 ON 시키기4. 다른 컴퓨터로 SSH 테스트5.   1. ssh 터널링 설정 ON 확인 먼저 터널링 켜져 있는지 확인하자sudo systemsetup -getremotelogin  Remote Login이 On 이 안되어 있으면 SSH 연결을 막아 놓은 상태.  키기 위해서 '터미널'이 맥의 셋팅에 접근을 허용시켜줘야함.  2. 터미널 파일디스크 접근허용    3. ssh 터널링 설정 ON 시키기 sudo systemsetup -setremotelogin on  4. 다른 컴퓨터로 SSH 테스트 같은 네트워크 내에 있는 컴퓨터가 아닌다른 컴퓨터로 SSH 테스트 해보자ssh 계정@..
macOs M2 개인서버 전환 - 포트포워딩 설정 (#3) SSH 연결을 위한포트포워딩 설정이다. 나중에 도커 설치 후애플리케이션에 따라 포트포워딩 설정을 하기 위해서는또 추가해줘야한다.  1. 게이트웨이 진입 192.168.0.1 2. 포트포워딩 설정 가기  3. 설정하기 오른쪽에 + 버튼 눌러 추가하자 외부포트는 외부에서 진입하여 들어오는 포트를 의미함  공인 아이피는 하나만 할당하기 때문에포트별로 공유기에 물린 기기들 별로 나누어 처리하리한다.  외부포트로 인식하여 나누어줌 예를 들어공유기에 컴 두개가 연결됨.A, B 공인아이피는 한개임 외부에서는 공인아이피만 알고 있음 포트로 요청을 나눔 "google.com:722"로 오면A 컴퓨터로 요청 보내줘"google.com:822"로 오면B 컴퓨터로 요청 보내줘 라는 것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