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449)
Spring boot - 배포시 운영에서만 사용하는 yml 적용하기 개발 외 배포시에만 사용하는 yml을 github 레포에 올리면 안되기 때문에  운영서버에 따로 파일을 생성하여서버시작시에 적용한다. 1. 운영서버에 application-prod.yml 생성 vi ~/directory/application-prod.yml [application-prod.yml]spring: datasource: url: jdbc:mariadb://운영디비서버:3306/test username: 운영계정 password: 운영비번 driver-class-name: org.mariadb.jdbc.Drivermybatis: mapper-locations: classpath:mapper/*.xml configuration: map-underscore-to-ca..
gradle - spring boot 배포 스크립트 # 1.변수 선언REPOSITORY=/home/ubuntu/app/step1PROJECT_NAME=kiosk_baskin# 2. 디렉토리 이동cd $REPOSITORY/$PROJECT_NAME# 3. 최신화echo "> git pull "git pull# 4. 빌드echo "> 프로젝트 Build 시작"echo "> 프로젝트 clean"gradle cleanecho "> 프로젝트 빌드"gradle build -x testecho "> 디렉토리 이동"cd $REPOSITORY# 5. 빌드파일 복사echo ">Build 파일 복사"cp $REPOSITORY/$PROJECT_NAME/build/libs/*.jar# 6. 이미 서버 구동죽인지 확인echo "> 현재 구동중인 pid 확인"CURRENT_PID=$..
AWS ec2) spring boot 프로젝트 gradle 배포 운영 서버에서의 gradle과작업하던 gradle 버전을 맞추어야 한다.  작업하던 gradle 버전 확인은gradle --version  혹은 프로젝트 내에서 확인 가능하다.  1. gradle 설치wget https://services.gradle.org/distributions/gradle-8.11.1-bin.zip 2. gradle 프로젝트 빌드하기(Spring boot3)sudo mkdir /opt/gradle sudo unzip gradle-8.11.1-bin.zip -d /opt/gradle 3. 전역변수 설정 sudo vi ~/.bashrc  파일 최하단에아래 코드를 넣기export PATH=/opt/gradle/gradle-8.11.1/bin:$PATH  새로고침source ~/.bash..
gradle - 서버에서 gradle 관련 작업시 자꾸 서버 멈추는 현상 서버에서 gradle clean 만 해도 서버가 뻗어 버렸다.  이유를 알아보니메모리 부족이였다. 메모리는 1GB 밖에 없어HDD를 메모리로 사용할 수 있는Swap memory를 이용해서버가 뻗는 것을 막자. 1. 스왑 설정 1-1) 2 기가를 hdd에서 가상메모리로 변환한다.sudo fallocate -l 2G /swapfile1-2) 주인만 읽을 수 있도록 권한 변경sudo chmod 600 /swapfile1-3) swapfile을 스왑메모리라고 mark 한다.sudo mkswap /swapfile1-4) 1-1에서 가상메모리로 만든 파일을 스왑으로 바꾼다.sudo swapon /swapfile 1-5)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echo '/swapfile none swap sw 0 0' |..
github 토큰 발행 1. 깃헙 접속 2. 우측 settings 진입 3. 사이드메뉴 "developer settings" 진입  4. Tokens(classic) 발행하기 진입   5. 만료기간, 접근허용 항목 선택 후 발행하기
AWS - RDS 셋팅하기(RDS 생성, 파라미터그룹셋팅, 접속테스트) RDS 셋팅 빠르게 알아보자 순서- RDS 생성- 파라미터 그룹 셋팅- 접속테스트 로컬 컴퓨터에서 RDS를 붙여서 테스트 테이블을 생성할 예정이다.  그 이후EC2에서 Mysql 설치하여RDS를 붙여 테스트 테이블이 잘 되었나 확인한다.    1. RDS 검색하기   2. 마리아 디비로 선택   3. 템플릿은 프리티어, 자체관리, 비밀번호 설정하기 4. 퍼블릭 액세스 '예' (외부접속 허가 여부 설정임) 5. DB에서 사용하는 값 설정을 위한 '파라미터 그룹' 셋팅하기   5-1) 그룹 생성     5-2) 디비 파라미터 수정 다음 세개의 파라미터를 설정합니다.a. 타임존b. 캐릭터셋c. 커넥션 최대 시간      5-2.a) 타임존 파라미터 설정   5-2.b) 캐릭터셋 파라미터 설정 "char" 검색..
ubuntu - mysql 설치 후 접속 ec2의 ubuntu 환경에서 mysql 설치 후 접속 테스트  조건: ec2 환경이라면 먼저 ssh 접속을 해야한다. 1. apt updatesudo apt update 2. mysql 설치sudo apt install mysql-server 3. mysql 시작하기sudo systemctl start mysql 4. 부팅시 mysql 자동 켜기 설정sudo systemctl enable mysql  5. RDS 접속mysql -u admin -p -h RDS주소 6. 로컬에서 사용한 innodb 선택하기show databases;use innodb; 7. 로컬에서 생성한 test 테이블 확인하기
AWS - EC2, EIP(고정IP), RDS (초반 셋팅 빠르게 하기) 순서 1. EC2 인스턴스 생성https://tomhoon.tistory.com/731 2. EIP 설정https://tomhoon.tistory.com/732 3. EC2 접근 및 인바운드 규칙설정https://tomhoon.tistory.com/733 4.mac 인 경우 ssh 접속 명령어 짧게 변경해보자(선택사항)https://tomhoon.tistory.com/734 5. EC2 필수설정 (자바설치, 타임존/호스트네임 변경)https://tomhoon.tistory.com/735 6. EC2 자바 설치하기https://tomhoon.tistory.com/736 7. RDS 생성 후 설정 https://tomhoon.tistory.com/7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