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황:
80/443 포트가 아닌 다른 포트로
구글에 특정 페이지 요청하기
브라우저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는
80 혹은 443 포트를 사용한다.
그런데 여러 상황으로 인해
해당 포트로 리소스를 요청/제공 받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는 Proxy server와 ssh tunneling을 맺고
socks4 (socket secure)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다른 포트로 proxy server를 거쳐 리소스를 제공 받는다.
필요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proxy server에서의 ssh tunneling 셋팅(나는 nas를 사용함)
2. 브라우저가 다른 포트로 온 데이터를 받을 수 있도록 Extension 설치(크롬은 switch omega, 파이어폭스는 기본으로 제공하는 걸로 알고 있음)
[1. proxy server에서의 ssh tunneling]
각자의 환경에 맞게 셋팅해야한다.
셋팅이 잘 되었는지 확인하려면
이후 나오는 ssh 연결 테스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브라우저가 다른포트로 온 데이터 받을 수 있도록 셋팅]
다른 포트로 데이터를 온다는 것을 감지하기 위해 다이나믹 포트포워딩을 설정해야한다.
ssh -D 127.0.0.1:프록시포트 계정아이디@프록시서버주소 -p 터널링포트
(이 가이드는 맥 기준으로 작성됨)
위 스크립트 입력시 비밀번호 입력이라고 나온다. 혹시 pem 키로 자격증명이 되어 있다면 검색하면 나온다!
로그인 하면 프록시포트로
브라우저에서 내보내는 요청,
보낸 요청 Response는 모두 1080을 거쳐서 간다.
이제는
브라우저가 443 혹은 80포트가 아닌
프록시포트에서 오는 데이터를
감지하고 그 포트의 데이터를 보여줄 수 있도록 설정하자.
[2.1. 브라우저 프록시 포트 데이터 볼 수 있도록 익스텐션 설치]
https://chromewebstore.google.com/detail/proxy-switchyomega/padekgcemlokbadohgkifijomclgjgif
Proxy SwitchyOmega - Chrome 웹 스토어
Manage and switch between multiple proxies quickly & easily.
chromewebstore.google.com
검색하거나 링크 타고 들어가서 설치하기
설치가 다 되면 아래처럼 셋팅
셋팅 다되면 브라우저 우상단에
브라우저 모드를 proxy로 변경
환경마다 다르므로 자세한 셋팅에 대해 문의는 댓글 남겨주세요!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 - nginx 컨테이너와 로컬 html 마운트하여 실행하기 (0) | 2025.02.24 |
---|---|
Docker - socks4 proxy server 거쳐서 이미지 Pull 받기 (0) | 2025.02.19 |
Spring boot - 배포시 운영에서만 사용하는 yml 적용하기 (0) | 2025.02.16 |
gradle - spring boot 배포 스크립트 (0) | 2025.02.16 |
AWS ec2) spring boot 프로젝트 gradle 배포 (0) | 2025.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