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DB에 접근시에는 항상 트랜잭션 안에서 돌도록 잡아줘야한다.
@Transactional은 기본 값이
readonly = false이다.
insert관련 내용이 있을 때는 사용해서는 안된다.
만약 Service에서
메소드가 10개인데
9개가 insert형식이고 하나만 read 형식이면 다음과 같이 처리 가능하다.
@Service
@Transactional // 전부 insert형식 선언
public class MemberService {
public Long insert1() {
}
public List<Member> insert2() {
}
@Transactional(readOnly = true) //하나만 read
public Member insert3() {
}
}
추가로
Transactional은 두가지의 패키지가 있는데
옵션이 많은 아래 패키지를 사용하는 편이 좋다
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Transactional;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 Springboot - vscode에서 hot swapping 셋팅 (1) | 2024.12.26 |
|---|---|
| github action - npm command not found 뜨는 현상 (0) | 2024.12.26 |
| ec2 - pemkey 복사해서 사용할 경우 주의사항 (0) | 2024.12.20 |
| Docker에 Jenkins 설치 후 Jdk 환경설정 (0) | 2024.12.18 |
| Tomcat 설치 후 셋팅 (외부접속열기, 유저생성 및 권한부여) (1) | 2024.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