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스 시놀로지는 하나의 도커와 똑같다.
명령어도 docker로 사용한다.
redis 설치과정을 기록한다.
사전조건: 자기 집의 public ip를 알거나 도메인(ex. domain.com)을 설정해놓은 상태여야한다.
duckdns 가 무료로 도메인을 제공하니
한번 확인해보는 것도 좋음
1. iptime 공유기에서 포트포워딩 설정
공유기 설정페이지로 이동해 다음과 같은 설정을 한다.
외부에서
내도메인:1022로 접근하는 경우
iptime(라우터)에서 1022포트를 매핑할
private ip와 private ip로 접근할 포트를 지정한다.
위 사진에 나온 설정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내 사설ip, iptime으로 접근하는데 포트가 1111로 온다면
-> domain.com:1111
iptime에 물린 기기 중
193.167.0.155 를 사설 ip를 가진 녀석에게 가는데
포트번호 2222번으로 들어간다.
라는 의미이다.
2. nas docker에 redis 설치
먼저 nas에 ssh로 접근한다.
접근을 위해서는 전에 올렸던 포스팅을 참고하면 좋을 듯 하다
https://tomhoon.tistory.com/475
nas) 시놀로지(모델명ds223) ssh tunneling 설정
회사에서 외부망이 막힌 경우에 ssh터널링을 통해 우회할 수 있다. 바람직한 방법은 아니니 사내 내규에 따라서 잘 이용하도록 해야한다. 순서 1. nas 내에서 ssh 허용 설정 2. putty로 접속하여 ssh 상
tomhoon.tistory.com
접근한 모습은 아래와 같다.
3. redis 설치명령어
3-1) redis 이미지 받기
docker pull redis
3-2) 이미지가 담긴 컨테이너 생성
이미지명 확인
docker images
컨테이너 생성 및 실행
docker run -d [이미지명]
ex) docker run -d redis 혹은 docker run -it redis
* -it: interactive mode(ctrl C 누르면 꺼짐)
* -d: detached mode
3-3) 컨테이너 실행 중인지 확인
docker ps
4. docker redis 접속하여 서버 실행 확인하기
4-1) redis 컨테이너에 접속
컨테이너명 확인
docker ps
컨테이너 접속
docker exec -it [컨테이너명] /bin/bash
4-2) redis cli 모드 들어가기
redis-cli
4-3) 서버 켜져있는지 확인
ping
pong 응답오면 켜진 것임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time 공유기 초기화 후 설정(비밀번호 설정, 포트포워딩, WOL설정) (0) | 2024.11.03 |
---|---|
JPA - 기본적인 어노테이션 간단히 살펴보기 (@ElementCollection, @FetchType.LAZY, EAGER, @EntityGraph, @GenereatedValue) (1) | 2024.10.28 |
nginx - react(cra) craco로 설정 후 청크 파일 경로 잘못된 오류 (0) | 2024.10.22 |
WYSIWYG - react(spa),Spring boot 3(JPA) 내용 정리 - 1(이미지업로드 처리방식@Lob,MEDIUMTEXT, axios 커넥션 지속기간 설정) (1) | 2024.10.16 |
mariadb - 외부 접속 안되는 현상(10061) (1) | 2024.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