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버

nginx - conf 쉽게 설정하기 (+ spa 404에러 현상)

728x90

1. nginx가 적용할 root 디렉토리 설정하기

2. nginx가 적용할 html 파일명 설정하기

3. react, vue 와 같은 spa 프로젝트일 경우 라우팅 적용 안되어 404 뜨는 현상 설정

99. 주의사항


1. nginx가 적용할 root 디렉토리 설정하기

 

필자는
nginx가 기준으로 잡는 디렉토리는 아래와 같다.

var, tmp, root, home.. 등이 있는 디렉토리 경로이다

 

nginx가 잡을 루트 디렉토리는 

"FE" 라는 디렉토리이므로 해당 디렉토리로 설정한다.

nginx/site-enable/default 파일


2. nginx가 적용할 html 파일명 설정하기

 

root 디렉토리는 

FE/build 이다

 

하위에 있는 index.html 파일을 기본으로 잡았다. 

만약 index2.html 파일이라면 

 

다음과 같이 설정해야한다.


3. react, vue 와 같은 spa 프로젝트일 경우 라우팅 적용 안되어 404 뜨는 현상 설정

 

SPA 프로젝트일 경우 

URL을 보고 렌더링을 변경하는 것이고

실제 라우팅이 아니라서 nginx가 못잡는다.

그래서 404를 내뱉는데

 

404일 때 URL 그대로 가지고서

다시 index.html로 돌려보내면 해결된다.


99. 주의사항

세미콜론 안 넣으면 서버자체가 안켜짐

 

 

자주 쓰는 명령어 보기

 

https://tomhoon.tistory.com/553